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195

git 연결 끊어졌을때 다시 연결하는 법 git 연결 끊어졌을때 다시 연결하는 법 개발 중에 실수로 git 연결이 끊어졌을 경우 당황하지 말고 프로젝트 오른쪽 버튼 클릭 team > share project 클릭하면 된다. 보통 신규로 git 저장소를 만들때 share project를 사용하지만, 연결이 끊어졌을때도 share project 로 진행하면 된다. 이후 pull 받거나, synchronize 를 통해 소스를 맞춘다. 2023. 8. 16.
mariadb group by 중 특정 컬럼 값이 다를 경우 count 다르게 조회 쿼리를 작성하다보면, GROUP BY 하여 값을 가져오는데, 특정 컬럼의 값이 다른경우 COUNT를 다르게 조회해야할 경우가 존재한다. 작성해야 하는 쿼리 조건 : 특정 컬럼 값이 다를 경우에만 COUNT를 다른 값으로 계산하고,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리턴되는 ROW가 1개여야 한다 아래 쿼리를 예시로 들어보자. 테이블 이름이 your_table이며, 특정 컬럼이 specific_column이라고 가정한다. SELECT specific_column, CASE WHEN COUNT(DISTINCT column1, column2, ...) > 1 THEN COUNT(DISTINCT column1, column2, ...) ELSE 1 END AS count_result FROM your_table GROUP .. 2023. 8. 9.
mariadb 트리거 생성 예제 - 입력,수정,삭제 mariadb 트리거 생성 예제 - 입력,수정,삭제 아래 예제는 MariaDB에서 특정 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가 삽입, 수정 또는 삭제될 때 트리거를 이용하여 별도의 로그 테이블에 해당 이벤트를 기록하는 쿼리다. 예를 들어, employees 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가 삽입, 기존 레코드가 수정, 레코드가 삭제되었을 때 이를 employees_log 테이블에 기록하는 트리거를 생성하는 쿼리. employees_log 테이블은 event_type, event_time, id, name, position, salary 열을 가지고 있다. -- 트리거 생성 CREATE TRIGGER employees_trigger AFTER INSERT ON employees FOR EACH ROW BEGIN INSERT IN.. 2023. 8. 4.
MariaDB에서 계층 구조 데이터 조회하기 MariaDB에서 계층 구조 형태로 쿼리를 생성하는 방법은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. "커넥트 바이너리 테이블" 방식 "공통 테이블 식(CTE)" 방식 커넥트 바이너리 테이블을 사용하는 방법 커넥트 엔진은 MariaDB에서 계층 구조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. 커넥트 엔진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-- 커넥트 엔진 로드 INSTALL SONAME 'ha_connect'; -- 계층 구조 데이터를 담고 있는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hierarchy_table ( id INT PRIMARY KEY, parent_id INT, name VARCHAR(50) ) ENGINE=CONNECT TABLE_TYPE=CSV FILE_NAME='/path/to/hierarchy_data.csv';.. 2023. 8. 2.
linux에서 특정 아이피 포트 방화벽 오픈 여부 확인 리눅스 환경에서 특정 아이피와 포트의 방화벽이 오픈(outbound)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명령어가 존재한다. ps. outbound : my server -> other server 1.telnet telnet [호스트 또는 IP 주소] [포트번호] 성공적인 경우 Trying 172.217.174.78... Connected to www.google.com. Escape character is '^]'. 실패한 경우 Trying 192.0.2.1... telnet: 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: Connection refused 2. nc (netcat) nc -vz [호스트 또는 IP 주소] [포트번호] 성공적인 경우 Connection to www.googl.. 2023. 8. 2.
깃 에러 해결 (git) fatal: could not read Username for 'git url': No such file or directory 갑자기 "could not read Username for 'git url': No such file or directory"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면, 기존 git 환경정보가 업데이트 되면서 기존의 설정이 변경되어 이러한 에러가 발생할 수 도 있다. 1. 해결 방법(Window) 상단의 File -> Settings -> Version Control -> Git -> (밑에 있는) "Use credential helper"에 체크를 한다 2. 해결방법 (Mac) Preferences -> Version Control -> Git -> "Use credential helper"에 체크를 한다 이렇게 하고 다시 pull 또는 push를 하면 token 정보 또는 id, password를 입력해라는 창이 뜨게.. 2023. 8. 1.
반응형